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투과성과 자기이력곡선과 자기적 성질
    카테고리 없음 2019. 5. 22. 01:27
    투과성
    전에도 말했다시피, 투과성 (m)은 부속내에 형성된 자속의 용이성을 설명하는 물질의 특성이다. 이것은 자력(H)과 물체내에 형성된 자속밀도(B)의 비율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등식으로 표현된다.
    m = B/H
    이 등식은 자기이력곡선의 기울기로 묘사하면 명확하다. 서류와 언급된 물체들의 주어진 투과성 값들은 보통 최대 투과성과 같거나 최대 상대투과성과 같다. 최대 투과치는 탈자화된 물체의 값이 최대치일때 B/H 곡선의 기울기 지점과 같다. 이 지점은 종
    종 직선라인과 B/H 곡선의 접점이다.
    상대 투과성은 물체의 투과성 / 대기중의 투과성의 비율로 구해진다.
    자기이력곡선의 형태는 자화된 물체에 대해 다양한 점들을 말해준다. 다음은 두개의 다른물체의 자기이력곡선이다.

    상대적으로 다른 물체에서 더 넓은 자기이력곡선을 갖는 물체는
    투과성이 낮다
    유지력이 높다
    항자기성이 높다
    자기저항이 크다
    잔류자기가 많다
    상대적으로 다른 물체에서, 좁은 자기이력곡선을 갖는 물체는
    투과성이 높다
    유지력이 낮다
    항자기성이 낮다
    자기저항이 낮다
    잔류자기가 적다

    자기탐상검사에서, 잔류자기의 정도는 중요하다. 잔류자기장은 탄소구성과 합금 물체들과 관련된 투과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탄소구성이 높은 부품은 낮은 투과성을 갖을 것이고 탄소구성이 낮은 물체보다 자속을 더 갖게 될 것이다. 위의 두개의 B-H
    곡선에서, 어떤것이 낮은비율의 탄소철로 나타날까?

    자기이력곡선과 자기적 성질

    자기이력곡선을 공부를 함으로써 물체의 자기적 성질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배울 수 있다. 자기이력곡선은 유도된 자기유속밀도B 그리고 자기력 H사이에 관계를 보여준다. 이것은 종종 B-H 곡선이라고 일컫는데, 아래와 같은 자기이력곡선의 예가 있다.
    곡선은 자계강도가 변화되는 동안 강자성 물체의 자속을 측정함으로써 생성된다. 이전에 자화시키 않았거나, 완전히 탈자화된 강자성의 물체는 H가 증가된 것과 같은 형태를 띌 것이다. 더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면(+H), 더 강한 자기장이 형성된다(+B).
    “a”부분에서 거의 대부분의 자구는 정렬되있고, 추가적인 자화력의 증가는 소량의 자속 증가를 갖는다. 이때, 물체는 자기 포화상태에 도달한다. H(전류량)가 0으로 줄었을때, 곡선은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때, 자구는 자화력이 0 일지라도 어느정도 남게된다. 이것을 그래프상의 유지력으로 일컫고, 잔류자기 또는 물체의 잔류 자성 값이라고 말한다. (몇몇 자구는 정렬된 상태로 남게되지만, 몇몇은 정렬을 잃게 된다.) 자화력이 뒤바뀌면서, 곡선은 자속이 0으로 줄어든 “c” 지점으로 이동한다. 이것을 곡선의 항자기성 지점이라고 부른다. (역 자화력은 자구를 충분하게 확 뒤바꾸기 때문에 물질의 자속망은 0이 된다.) 물체에서 잔류자기를 없애기 위한 힘은 항자기성 또는 물체의 항자기성이라고 일컫는다.

    음극의 방향으로 자화력이 증가하면서, 물질은 다시 자화적으로 포화하는데, 그러나 반대에 위치한 “d”지점에 놓이게 된다. 이때, H(자기력)를 0으로 줄임으로써 곡선은 “e”지점에 위치하게 한다. 이것은 반대곡선에서 얻은것과 같은 정도의 잔류자기를 가지게 된다. H를 반대로 +극으로 증가는 것은 B(자기유속밀도)를 0으로 되돌아 오게한다. 곡선은 원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데, 왜냐하면 잔류자기를 없애기 위해선 어느정도 힘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곡선은 “f”지점부터 곡선이 끝나는 포화지점까지 다른 형태를 띄게 될 것이다. 자기이력곡선을 통해, 물체의 많은 중요한 자기적특성이 결정된다.

    유지력 - 자성 물체의 포화자기유도에 부합하는 항유속밀도의 측정. 다른 말로는, 이것은 자기포화 이후 자기력이 없어졌을때, 어느정도의 항자기장을 유지하는가 하는 물질의 능력이다.(자기이력곡선에서의 b지점의 B의 값이다.)
    잔류자력 또는 잔류유속 - 자기력이 0일때, 물체에 남아있는 자기유속밀도. 물체가 포화상태까지 자화되었을때, 항자성과 보존력은 같다. 그러나, 자화력이 포화단계에 도달하지 않을때, 항자성의 단계는 보존력 값보다 아마 낮을 것이다.
    항자기력 - 자속을 0으로 되돌리기위해 물체에 적용되어야하는 역 자기장의 세기(자기이력곡선 그래프 H의 c 지점)
    투과성, m - 물체내에서 생성된 자속의 용이성을 설명하는 물체의 특성

    자기저항 - 강자성의 물체가 자기장을 만들때 보여주는 것과 반대되는 개념. 자기저항은 전자회로의 저항과 같은 유사성을 보인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